2022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은 2022년 2월 12일부터 5월 7일까지 진행된 카트라이더 e스포츠 대회이다. 팀전은 8강 풀리그, 포스트시즌을 거쳐 블레이즈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개인전에서는 김다원이 우승하여 수퍼컵에 진출했다. 경기는 광명시 IVEX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고, 성승헌, 김대겸, 정준, 최시은, 박인재가 중계를 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e스포츠 - 2022년 한중일 e스포츠 대회
2022년 한중일 e스포츠 대회는 중국문화오락협회 주최, 한일 e스포츠 협회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주관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 하스스톤, e풋볼 2023 세 종목으로 진행되어 일본이 종합 우승, 대한민국이 종합 준우승을 차지한 국제 e스포츠 대회이다. - 2022년 e스포츠 - 2022 LCK 챌린저스 리그 스프링
2022 LCK 챌린저스 리그 스프링은 LCK 유한회사 주최, 우리은행 후원으로 2022년 1월 10일부터 4월 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DRX가 정규 시즌 1위를, DWG KIA가 최종 우승을 차지한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리그의 스프링 시즌이다. - 카트라이더 리그 - 성승헌
성승헌은 홍익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아리랑 TV 조연출로 사회생활을 시작하여 iTV 게임 프로그램 진행으로 방송에 데뷔한 후 온게임넷 캐스터로 활동하며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게임 캐스터이자 방송인이다. - 카트라이더 리그 - 김택환
김택환은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K-SWISS 팀배틀 챔피언십 3위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은퇴 후 아프리카TV와 유튜브에서 방송 활동을 하고 있다. - E스포츠에 관한 -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
월드 사이버 게임즈 2001은 2001년에 개최된 e스포츠 대회이며,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등 여러 게임이 정식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임요환이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E스포츠에 관한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2022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 |
---|---|
리그 정보 | |
리그 이름 | 2022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
리그 시작일 | 2022년 2월 26일 |
리그 종료일 | 2022년 5월 7일 |
개막전 | LSB vs KDF |
주최 | 넥슨 코리아 |
주관 | 빅픽처인터렉티브 |
후원사 | 신한은행 헤이영 벤큐 |
참가 팀 | 8 |
참가 선수 | 53 |
게임 버전 | Live |
총 상금 | 2억 원 |
시즌 결과 | |
팀전 우승 | 블레이즈 |
개인전 우승 | 김다원 |
시즌 연혁 | |
이전 시즌 |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2021 수퍼컵 |
다음 시즌 |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2022 시즌 2 |
2. 역사
카트라이더 리그는 넥슨에서 서비스하는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e스포츠 리그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 스타크래프트와 함께 대한민국의 e스포츠 중흥기를 이끌었다.
2022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은 팀전과 개인전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팀전은 2월 13일 예선을 시작으로 5월 7일 결승전까지, 개인전은 2월 12일 예선을 시작으로 4월 30일 결승전까지 진행되었다.
3. 일정
3. 1. 팀전
3. 2. 개인전
4. 경기장
5. 진행 방식
팀전은 8강 풀리그와 포스트시즌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8강 풀리그는 3판 2선승제,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며, 상위 5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한다. 포스트시즌은 수정된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개인전은 32강전, 16강전, 결승전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32강전과 16강전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결승전 1라운드는 8명의 선수 중 80점 이상을 획득하는 선수가 나올 때까지 레이스를 진행하며, 1위와 2위가 결승 2라운드에 진출한다. 결승 2라운드는 5판 3선승제로 진행된다.
5. 1. 팀전
- '''8강 풀리그''' - 3판 2선승제,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
- * 한 팀이 총 7번 경기를 치른다. 상위 5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는데, 1, 2위는 '''결승 진출전'''에, 3위는 '''준플레이오프'''에, 4, 5위는 '''와일드카드'''에서 경기를 치른다.
- '''포스트시즌''' - 수정된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
- * '''와일드카드''' : 4, 5위가 맞붙는다. 승리 팀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 패배 팀은 최종 탈락한다.
- * '''준플레이오프''' : 3위와 와일드카드 승리 팀이 맞붙는다. 승리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 패배 팀은 최종 탈락한다.
- * '''결승 진출전''' : 1, 2위가 맞붙는다. 승리 팀은 '''결승전''', 패배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 * '''플레이오프''' : 결승 진출전 패배 팀과 준플레이오프 승리 팀이 맞붙는다. 승리 팀은 결승전에 진출, 패배 팀은 최종 탈락한다.
- * '''결승전''' : 결승 진출전 승리 팀과 플레이오프 승리 팀이 맞붙는다. 결승전은 페이즈 방식으로 진행된다.
5. 2. 개인전
- '''32강전''' -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
- ** '''조별 경기'''
- ** '''패자부활전'''
- '''16강전''' -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
- ** '''1, 2경기'''
- ** '''승자전, 패자전, 최종전'''
- '''결승전''' -
- ** '''결승 1라운드''' : 8인 중 80점 이상을 얻는 선수가 나오는 즉시 레이스가 종료되고, 1위와 2위가 결승 2라운드에 진출, 3~8위는 최종 탈락한다.
- ** '''결승 2라운드''' : 결승 1라운드 1위와 2위가 5판 3선승제 방식으로 맞붙는다.
6. 상금
상금은 대한민국 원 기준이다.
팀전 | 개인전 | ||
---|---|---|---|
순위 | 금액 | 순위 | 금액 |
우승 | 1억원 | 우승 | 1000만원 |
준우승 | 4000만원 | 준우승 | 500만원 |
3위 | 2000만원 | 3위 | 300만원 |
4위 | 800만원 | 4~8위 | 각 20만원 |
5위 | 400만원 | ||
6~8위 | 각 300만원 | ||
총 상금 | 2억원 |
7. 페널티
2월 14일, 팀전에서 유동식(개구쟁이)은 페널티 기준표(11장 4조) 위반으로 리그 실격 및 1회 참가 제한 조치를 받았다.[1] 같은 날, 김주영(Frozen)과 이명재(Frozen)는 참가 자격 제한(5조 6항)으로 리그 실격 및 1회 참가 제한 조치를 받았으며, 이들에게는 2020년 시즌 2 규정이 적용되었다.[2]
2월 25일, 개인전에서는 최민영(32강 C조)이 e스포츠 공정성 훼손(리그 위원회 논의)으로 리그 영구 참가 불가 조치를 받았다.[3]
3월 10일, 개인전에서 이창한(32강 C조)은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32강전 경기에서 패배했다.[4] 3월 19일, 개인전 황혁(32강 D조) 역시 코로나19 확진으로 32강전 경기에서 패배했다.[5]
날짜 | 구분 | 대상 | 위반 사항 | 조치 사항 | 누적 | 비고 |
---|---|---|---|---|---|---|
2월 14일 | 팀전 | 유동식 (개구쟁이) | 페널티 기준표(11장 4조) | 리그 실격, 1회 참가 제한 | - | |
2월 14일 | 팀전 | 김주영 (Frozen) | 참가 자격의 제한(5조 6항) | 리그 실격, 1회 참가 제한 | - | 20 S2 규정 적용 |
2월 14일 | 팀전 | 이명재 (Frozen) | 참가 자격의 제한(5조 6항) | 리그 실격, 1회 참가 제한 | - | 20 S2 규정 적용 |
2월 25일 | 개인전 | 최민영 (32강 C조) | e스포츠 공정성 훼손(리그 위원회 논의) | 리그 영구 참가 불가 | - | |
3월 10일 | 개인전 | 이창한 (32강 C조) | 코로나19 확진 | 32강전 경기패 | - | |
3월 19일 | 개인전 | 황혁 (32강 D조) | 코로나19 확진 | 32강전 경기패 | - |
8. 선수 명단
2022 신한은행 헤이영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에 참가하는 팀은 팀 지원 프로젝트 참여 여부에 따라 나뉜다. 팀 지원 프로젝트에는 리브 샌드박스, 블레이즈, 광동 프릭스, 팀 GP 4팀이 참여한다.
팀 | 리브 샌드박스 | 블레이즈 | 광동 프릭스 | 팀 GP |
---|---|---|---|---|
감독 | 박준석 | 문호준 | 최대섭 | 김현민 |
스피드 에이스 | 박인수 | 유창현 | 유영혁 | 임재원 |
러너 | 정승하 | 김지민[2] | 이재혁 | 고병수 |
스위퍼 | 박현수 | 최영훈 | 노준현 | 정유민 |
하이브리드 | 김승태 | 배성빈 | 송용준 | 박민호 |
아이템 에이스 | 이은택 | 강석인 |
팀 지원 프로젝트 미참여 팀은 Phase, DDK, latte, AxelZ이다.
팀 | Phase | DDK | latte | AxelZ |
---|---|---|---|---|
감독 | ||||
스피드 에이스 | 최은성 | 박정익 | 황혁 | 김다원 |
러너 | 한승민 | 곽현호 | 윤여민 | 안정환 |
스위퍼 | 윤서형 | 신민석 | 최준혁 | 박대한 |
하이브리드 | 홍성민 | 김현중[2] | 권효진 | 전진우 |
아이템 에이스 | 권순우 | 김택진 | 한정진 |
개인전 32강은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된다.
32강 1경기 (A조) | 32강 2경기 (B조) | 32강 3경기 (C조) | 32강 4경기 (D조) |
---|---|---|---|
이재혁 | 유창현 | 박현수 | 유영혁 |
정승하 | 김현민 | 임재원 | 박장훈 |
최영훈 | 이해원 | 심우혁 | 홍성민 |
우성민 | 노준현 | 나인창[3] | 안정환 |
추영범[4] | 전진우 | 박인수 | 전대웅 |
강다훈 | 김다원 | 윤여민 | 조상인 |
윤서형 | 신민식 | 송용준 | 배성빈 |
김승태 | 김우준 | (실격)[5] | (실격)[6] |
8. 1. 팀전
카트라이더 리그에 참가하는 팀은 크게 팀 지원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팀과 그렇지 않은 팀으로 나뉜다. 팀 지원 프로젝트에는 리브 샌드박스, 블레이즈, 광동 프릭스, 팀 GP 4팀이 참여한다. 특히, 블레이즈의 문호준 감독은 선수 시절부터 뛰어난 실력과 준수한 외모로 인기를 얻었으며,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게도 인지도가 높은 인물이다.- '''팀 지원 프로젝트''' 참여 팀
팀 | 리브 샌드박스 | 블레이즈 | 광동 프릭스 | 팀 GP |
---|---|---|---|---|
감독 | 박준석 | 문호준 | 최대섭 | 김현민 |
스피드 에이스 | 박인수 | 유창현 | 유영혁 | 임재원 |
러너 | 정승하 | 김지민[2] | 이재혁 | 고병수 |
스위퍼 | 박현수 | 최영훈 | 노준현 | 정유민 |
하이브리드 | 김승태 | 배성빈 | 송용준 | 박민호 |
아이템 에이스 | 이은택 | 강석인 |
- '''팀 지원 프로젝트''' 미참여 팀
팀 | Phase | DDK | latte | AxelZ |
---|---|---|---|---|
감독 | ||||
스피드 에이스 | 최은성 | 박정익 | 황혁 | 김다원 |
러너 | 한승민 | 곽현호 | 윤여민 | 안정환 |
스위퍼 | 윤서형 | 신민석 | 최준혁 | 박대한 |
하이브리드 | 홍성민 | 김현중[2] | 권효진 | 전진우 |
아이템 에이스 | 권순우 | 김택진 | 한정진 |
8. 2. 개인전
(A조)(B조)
(C조)
(D조)